연산을 목적으로 정의된 기호를 가리켜 '연산자(Operator)'라 한다.
피연산자가 둘인 연산자를 가리켜 '이항 연산자(binary operator)'라 한다.
+와 =도 이항 연산자에 속한다.
자바의 연산자들
연산기호 | 결합방향 | 우선순위 |
[ ] . | ▶ | 1(높음) |
expr++ expr-- | ◀ | 2 |
++expr --expr +expr -rxpr ~ ! (type) | ◀ | 3 |
* / % | ▶ | 4 |
+ - | ▶ | 5 |
<< >> >>> | ▶ | 6 |
< > <= >= instanceof | ▶ | 7 |
== != | ▶ | 8 |
& | ▶ | 9 |
^ | ▶ | 10 |
| | ▶ | 11 |
&& | ▶ | 12 |
| | | ▶ | 13 |
? expr : expr | ◀ | 14 |
= += -= *= /= %= &= ^= |= <<= >>= >>>= | ◀ | 15(낮음) |
빨간색으로 표시한부분, 자주 사용하는 부분.
- 하나의 식 안에 둘 이상의 연산자가 존재하는 경우의 '연산 진행 순서'를 결정하는 요소
- 수학적 배경을 기초로 한다.
- 연산순서를 결정짓는 첫 번째 요소는 '우선순위'이고 두 번째 요소는 '결합방향'이다.
(우선순위가 같을 때 방향을 따진다.)
복합(Compound) 대입 연산자
a = a + b 같다 a += b
a = a - b 같다 a -= b
a = a * b 같다 a *= b
a = a / b 같다 a /= b
a = a % b 같다 a %= b
% -> 묘듈러
관계연산자 : <, >, <=, >=, ==, !=
- 연산의 결과에 따라 true 또는 false를 반환한다.
논리연산자 : &&, | |, !
- true또는 false를 반환하는 연산자.
연산자 | 연산자의 기능 | 결합방향 |
&& |
ex) A && B A와 B모두 true이면, 연산 결과는 true (논리 AND) |
▶ |
| | |
ex) A | | B A와 B둘 중 하나라도 true이면 연산 결과는 true (논리 OR) |
▶ |
! |
ex) !A 연산 결과는 A가 true이면 false, A가 false이면 true (논리 NOT) |
◀ |
- && 의 왼쪽 피연산자가 false이면, 오른쪽 연산자는 확인하지 않는다.
- | | 의 왼쪽 피연산자가 true이면, 오른쪽 연산자는 확인하지 않는다.
'iT-Programing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클래스와 인스턴스 (0) | 2020.01.13 |
---|---|
[java] 메소드와 변수의 스코프 (0) | 2020.01.12 |
[java] 실행 흐름의 컨트롤 (0) | 2020.01.12 |
[java] 상수와 형 변환 (0) | 2020.01.12 |
[java] 변수와 자료형 (0) | 2020.01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