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값이 변하지 않는 수'

자바에서는 한번 그 값이 정해지면 이후로는 변경이 불가능한 변수도 상수라 한다.

 

자바의 일반적인 상수

변수를 선언할 때 그 앞에 final이라는 선언을 추가하면 그 변수는 '상수'가 된다.

- 값을 딱 한 번만 할당할 수 있다.

- 한 번 할단된 값은 변경이 불가능하다.'

-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짓는다

- 이름이 둘 이상의 단어로 이뤄질 경우 단어 사이에 언더바를 넣는다.

 

형변환

- 크기가 큰 정수 자료형에서 작은 크기의 정수 자료형으로 형 변환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상위 바이트가 잘려 나간다.

short num3 = (short)(num1+num2);

하나는 num1과 num2의 덧셈 연산을 묶을 목적으로(수학 계상의 소괄호 의미가 같다), 또 하나는 형 변환을 목적.

 이 중에서 형 변환에 사용된 소괄호는 '연산자'로 분류.

반면, 묶거나 구분하는 목적으로 사용이 되는 소괄호는 '구분자'라 하여 그 성격이 연산자와 다르다.

'iT-Programing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ava] 클래스와 인스턴스  (0) 2020.01.13
[java] 메소드와 변수의 스코프  (0) 2020.01.12
[java] 실행 흐름의 컨트롤  (0) 2020.01.12
[java] 연산자(Operators)  (0) 2020.01.12
[java] 변수와 자료형  (0) 2020.01.12

+ Recent posts